필리핀은 디지털 문맹률이 낮아지고 인터넷 접근성이 상승하고 있으며, 필리핀은 SNS 수도라 불립니다. SNS 사용률이 가장 높다는 것은 디스토피아적으로 들릴 수도 있지만 이는 인구 통계적으로 데이터와 웹 문해력이 상승하고 있다는 것을 말하기도 합니다.
크리스 푸스너
2020 포럼 소개
ㅤ
ㅤ
ㅤ
ㅤ
ㅤ
ㅤ
ㅤ
[행사개요] 2020 한-아세안 문화혁신포럼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한-아세안 문화교류 및 협력을 위한 문화로 혁신하는 한-아세안들의 이야기
-
2022 포럼
ㅤ
ㅤ
ㅤ
ㅤ
ㅤ
ㅤ
ㅤ
동남아시아의 디지털 아트 및 뉴미디어 아트 커뮤니티 구축하기
동남아시아의 여러 국가의 사람을 연결하고 국가의 경계와 언어적 장벽을 넘어서는 중요한 매개체로 나는 미디어 아트를 접근해왔고, 이를 꿈꾸는 이들과 새로운 공동체를 확장해 나가고자 한다.
압둘 샤커
2022 포럼
ㅤ
ㅤ
ㅤ
ㅤ
ㅤ
ㅤ
ㅤ
라오스 영화 산업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2011년에 설립된 라오스 뉴웨이브 시네마 프로덕션(LNWC)은 라오스의 젊은 영화 제작자와 예술가들이 공동 설립한 회사다. LNWC의 첫 번째 목표는 라오스 영화계의 면모를 바꾸고 영화 제작에 열정적인 젊은이들의 영화 제작을 지원하는 것이다. 설립된 지난 10년 동안 총 7편의 장편 영화를 제작하면서, 라오스 뉴웨이브 시네마는 라오스 영화 산업의 중요한 참조점이 되었다.
에니세이 케올라
2020 포럼
ㅤ
ㅤ
ㅤ
ㅤ
ㅤ
ㅤ
ㅤ
동남아시아의 문화예술 관리 (2)
조사 기관의 31%가 공동사업체나 비공식 단체로 분류되며, 이러한 사업 모델이 조직의 생존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인도네시아의 세럼(Serrum)과 말레이시아의 파이브아트센터(Five Arts Centre) 등이 이에 해당하며, 이는 CCI 조직들이 끊임없이 학습하고 상황에 적응하려는 문화와 시장가치 이상의 사회문화적 중요성을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두옹 빅 한
2021 포럼
ㅤ
ㅤ
ㅤ
ㅤ
ㅤ
ㅤ
ㅤ
[기조연설] 2021 한-아세안 문화혁신포럼: 문화와 기술을 접목시킨 성공 사례와 한-아세안 문화기술 교류
저희는 오랜 기간 이 분야에서 작업하며 일반 대중에게는 미디어아트라는 것이 생소하고 작품 이면에 존재하는 작가의 철학 또한 이들에게는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 있다는 것을 경험으로 깨달았기 때문인데요, 그래서 모든 작품들을 관람객이 직관적으로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도록 제작함으로써 수준 높은 시각예술의 대중화를 실현하고자 했습니다.
이성호
2022 포럼
ㅤ
ㅤ
ㅤ
ㅤ
ㅤ
ㅤ
ㅤ
변방의 예술 프로젝트: 베트남 현대 미술의 흐릿한 경계와 통설
베트남은 1990년대에 개혁 개방(Doi Moi) 정책을 실시하고 국가 차원의 정치·경제적 변혁을 겪은 후 국제 교류 활동을 재개하고 발전시켰다. 문화 분야 중 시각 예술은 국제 교류를 가장 먼저 시작하여 상업적으로 성공하였으며 인지도가 빠르게 상승한 분야다.
응우옌 아인 투언
2020 포럼
ㅤ
ㅤ
ㅤ
ㅤ
ㅤ
ㅤ
ㅤ
[기조연설] 2020 한-아세안 문화혁신포럼
아세안은 다양한 혁신 가능성과 역량을 갖춘 큰 시장입니다. 또한 여러 아시아 국가의 감수성이 공존하는 공동체입니다. 따라서 아세안은 아주 강력한 연합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여전히 문화 지원을 위한 적극적 노력이 충분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리티 판
2022 포럼
ㅤ
ㅤ
ㅤ
ㅤ
ㅤ
ㅤ
ㅤ
적정 기술과 미디어아트를 통한 산업화 가능성
인터랙티브 미디어의 활용 범위는 장전프로젝트의 사례와 같이 예술 작품으로 개별 미디어 작품에 활용되거나 대규모 공공미디어 이벤트에도 활용되고 있다. 인적 자원을 바탕으로 한 적정기술 전문가를 확보하고, 이를 적재적소에 매칭이 가능한 교류와 교환 시스템을 구축한다면,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고부가가치 산업의 큰 축을 공동으로 마련해 갈 수 있다.